에게해문명
=
크레타문명 (B.C 3560년경 ~ B.C1170년경)
+ 미케네문명 (B.C 2000년경 ~ B.C 1200년경)
에게해문명
지중해 동부 에게해 주변 지역에서 번영한 고대문명으로 크레타로 대표되는 남방계 도서문화와 미케네로 대표되는 북방계 본토문화로 나눠진다. 에게 문명은 크레타에서 미케네로 문명이 전파됐다는 학설, 미케네에서 크레타로 문명이 전파됐다는 학설 등이 있다. 이 문명의 주도권은 B.C 2,000년경부터는 크레타에 있었지만 B.C 1,400년경부터는 미케네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전기에는 오리엔트적 특색이 보이다가 점차 그리스적(독창적) 요소가 나타난다. 이 문명은 해양 문명, 청동기 문명적 특징이 두드러지며 B.C 1,200년경 철기를 가진 도리아의 침입으로 종말을 맞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영국의 에반즈에 의해 크레타섬의 유적이 본격적으로 발굴되기 시작했고, 독일의 쉴리이만에 의해 트로이 및 미케네 유적이 발굴되었다.
크레타문명 (B.C 3560년경 ~ B.C1170년경)
크레타문명 (에반즈 연표) | |
고왕국시대 EM | BC 2800 - 2100 |
중왕국시대 MM | BC 2100 - 1600 |
신왕국시대 LM | BC 1600 - 1100 |
미노아문명(Minoan civilization)이라고도 불리는 이 문명은 크노소스, 말리아, 페스토스를 중심으로 미노스왕 시대에 해상강국을 이루었다. 큰 규모의 궁전 건축이 발달했으며, 성벽이 없는 것이 크레타 건축의 특징이고 벽화예술은 안료가 발달, 컬러풀한 예술적 모습이 두드려져 '회화 민족'이라 불리기도 한다. 인물이나 동물이 동적으로 묘사되어있으며 자유롭고 경쾌한 이미지가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집트 예술의 특징인 '정면성'의 원리를 여기서도 볼 수 있고, 물고기, 돌고래 등을 통해 해양문명적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자연과 뱀의 여신 및 소를 숭배하였던 크레타 문명은 B.C 1,400년경 일시에 파괴된 흔적이 보이는데, 이는 지진이나 해일이 일어났을 가능성, 그리스 본토의 미케네인들이 침입하여 파괴했을 가능성에 대해 추정해볼 수 있다.
에게해를 지배한 왕은 크레타의 미노스왕으로 트로이와 미케네를 지배하여 미노스 해상제국을 이룩하였다는 미노스해상제국설이 있다. 미노스왕이 보유하던 함대가 해적을 소탕할 정도로 영향력이 컸다는 것, 대규모 궁전에 성벽이 없다는 것이 그 증거이다. 미노타우로스 신화에서 황소의 탈을 쓴 미노스의 모습은 ① 당시의 풍족한 농경 환경을 상징한다. ② 황소 경기를 했던 것을 상징한다. 고 추정되기도 한다. 오늘날은 이 가설을 인정하는 추세이며 여러 곳에 다양한 해상제국이 존재하였을 가능성 또한 열어두고 있다.
미케네문명 (B.C 2000년경 ~ B.C 1200년경)
미케네문명은 B.C 1,600년경 ~ B.C 1,200년경 그리스 북쪽에서 내려온 아카이아인에 의해 발전하였다. 농업과 상업이 발달하였으며 인력이 풍부하고 함선도 보유하였던 이 문명은 펠로폰네소스 반도의 미케네를 중심으로 발전하였으며 사자문, 두터운 성벽(크노소스 궁전과 대조적) 등의 유적이 발견되었다. 색채가 탁하고 박력있으며 전투적, 호화로운 귀금속이 발달(금속 세공에는 아가멤논의 황금 마스크가 유명)해있는 것이 문명적 특징이며 왕 아낙스와 촌락의 수장 바셀리오스를 중심으로 통치체제가 형성되어 있었으며 (바셀리오스는 미케네 문명 파괴 후 왕이 됨) 토지는 공동 소유지를 추첨으로 할당하였다.
미케네 문명은 트로이 전쟁 이후 정치적, 군사적으로 기울기 시작하였으며 B.C 11세기경부터 암흑시대로 들어선다. 크레타나 로마제국의 쇠망보다 그 규모가 크다는 설이 있으며 파괴원인은 확실치 않으나 내분으로 약화되었을 때 철기를 가진 도리아인이 침입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트로이원정의 원인은 ① 미녀납치설② 경제적 문쟁설: 해상권 제패, 무역 전쟁 ③ 히타이트설이 있다.
암흑기는 북쪽의 *도리아인들이 쳐들어오며 아카이아족의 미케네 문명이 몰락하였던 시기이며 유물의 흑적도 없이 대부분의 문명이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따라 이 시기는 기록이 없는, '알 수 없는 400년간의 시대'이다. 암흑기 말에 서사시와 폴리스가 형성되었다.
*도리아인: 펠로폰네소스 남부 - 소아시아 남부 민족
'지식 + > 역사, 인물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마 오현제 황제들 (Five Wise or Good Emperors) (17) | 2022.01.18 |
---|---|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이봉창의사에 대하여 (18) | 2022.01.17 |
정여립과 기축옥사 대하여 (정여립 모반사건) (13) | 2022.01.14 |
호남차별의 기원 :: 훈요십조 8조의 진위론/해석상 문제점 (24) | 2022.01.13 |
[중국고대사] 돈황이야기 리뷰 (마쓰오카유즈루, 연암서가) (8) | 2021.12.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