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 5현제 시대 (1C 말 ~ 2C 말)
특징 | - 양자제 - 1C 군주: 로마나 그 근교에 거주 (속주 사정에 무지) - 2C 황제: 거의 속주 출신 |
지역적 통일 | 도로망 건설 (트라야누스 최대 판도) |
문화적 통일 | 라틴어가 정치, 군대 공용어 (그리스어 koine도 널리 사용됨) |
인류 역사상 황금시대 | 군사적 통제 하, 평화 번영 |
경제적 발전 | 로마 도시 건설 (광장, 포룸, 목욕탕, 노천극장, 체육 경기장, 개선문, 신전 등) |
1. 네르바 황제 (96.09.18~98.01.27 / 1년131일)
- 정책: 빈민 보호 정책, 알리멘타제도 시작
- 교육 제도 개선
- 트리아누스를 양자로 지명하고 평화롭게 제위를 이양함
2. 트라야누스 황제 (98.01.18 ~ 117.08.07 / 19년 206일)
- 최초의 속주 출신 임페라토르 (정확히 어떤 혈통의 가정환경, 가계를 가졌는지는 불분명) ▶ 당시, 속주 출신 로마인들은 출세에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트리야누스의 즉위는 로마 신민권의 평등함을 상징함
- 정책: 알리멘타 제도 확대/정착, 반역죄 폐지
- 영토 확장: 판도, 다키아, 파르티아 등 정복
- 다키아전쟁: 2차례의 원정에서 다키아 완전 정복, 다키아 속주 창설 → 다키아로부터 약탈한 전리품 등으로 추가예산 확보 → 도로, 교량, 수로 건설, 황무지 개간, 항구 건물 건축 등
- 건축, 문화 사업
3. 하드리아누스 황제 (117.08.11 ~ 138.07.10 / 20년 338일)
- 트라야누스 황제의 양자
- 법: 로마법 집대성
- 속주에 대한 관심: 도로, 교통, 통신 발달
- 국방: 정복전에서 수비전으로 변환 (ex. 영국 하드리아누스 성벽)
- 건축, 문화 발달: 그리스애호가, 디레탄트로서 고전주의를 즐김, 판테온 개축
- 2차 유대 전쟁 발발 (AD132 ~ AD135)
참고 제 1차
유대-로마
전쟁
전개과정
(AD66 ~ AD73)대제사장 엘르아살이 예루살렘에서의 로마 황제에 대한 제사 금지
▼
로마지배에 대한 유대인들의 저항 시작
▼
티투스가 이끄는 로마군의 예루살렘 함락 및 정복, 예루살렘 방화, 유대인 저항군 진압
▼
유대인들의 저항 운동은 실패로 끝남제 2차
유대-로마
전쟁
전개과정
(AD132 ~ AD135)하드리아누스의 유대인 탄압 정책
(예루살렘 북부 지역에 로마 10군단 상주, 할례 포함 거세 행위 금지, 예루살렘 성전 위치에 주피터 신전을 세우고자 함)
▼
시몬 바르 코세바: 일시적 예루살렘 탈환, 10군단 격퇴하나
민족 전체의 저항 운동으로 확대되지는 X
▼
로마인의 진압
(시몬 바르 코세바는 예루살렘 남서부 베들레헴 근교 베데르에서 전사,
아키바는 유대인 선동죄로 처형)
4. 안토니우스 피우스 황제 (138.07.10 ~ 161.03.07 / 22년 246일)
- 피우스라는 별칭: 로마인들이 말하는 귀족으로서의 위엄과 덕성을 갖춘 평온한 사람
- 출신지역: 고향: 이탈리아 / 가문: 나르보넨시스 속주 네마우수스(오늘날의 프랑스) 출신
- 집안: 친가(아우렐리우스 풀부스 가문) - 제국의 최상위층으로 고속 출세한 가문 / 외가(안토니누스 가문) - 정치적 영향력이 있었던 가문
- 평안기: 23년 재위 기간 동안 전쟁/전염병 無
- 최대 업적: 로마법 발전 (안토니누스는 역대 로마 황제 중 가장 뛰어난 법률적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고 함)
5.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 (161.03.07 ~ 180.03.17 / 19년10일)
- 동시대, 현재까지 로마 황제 중 가장 고결한 황제로 평가받음
- 철학자 황제: 스토아 철학, 「명상록」의 저자
- 출신 집안: 유명한 귀족가문 (히스파니아계 로마인)
- 국방: 재위기간 내내 이민족과의 전쟁이 시달림 - 황제가 된 이후 계속해서 전쟁터에 나감 (북방 게르만족 대거 남하, 마크로마니족 혼란 → 게르만용병 고용, 로마 영내 거주하도록 함)
- 아들 콤모두스(무능하고 불초한 친아들)에게 양위 → 몰락 시작 (오현제 시대 막을 내림)
'지식 + > 역사, 인물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시습의 생애와 문학 (2) (11) | 2022.01.21 |
---|---|
김시습의 생애와 문학 (1) (11) | 2022.01.20 |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이봉창의사에 대하여 (18) | 2022.01.17 |
서양고대문명 :: 에게해문명 / 크레타문명(미노아, 미노스문명) / 미케네문명 (13) | 2022.01.15 |
정여립과 기축옥사 대하여 (정여립 모반사건) (13) | 2022.01.14 |
댓글